『자연의 이치와 경락』
ISBN 979-11-87828-14-3 (03510)
편저 : 침뜸학교 교육연구팀
대표집필 : 손중양 사단법인 허임기념사업회 이사장
감수 : 전세일
편집자 : 손중양
제본형식 : 종이책 - 무선제본
형태 및 본문언어 : 328쪽 / 46배판(188*257) / 한국어
가격정보 35,000원
발행일 2025.06.17
발행처 도서출판 허임
『자연의 이치와 경락』 차 례 서 문 3 생명세계의 역리(易理)와 경락 12 제1장 자연의 이치 - 역리(易理) 15 제1절 역(易)과 음양 17 1. 삼생만물(三生萬物) 17 2. 음양과 사상과 팔괘 20 1) 음양(陰陽) 21 2) 사상(四象) 22 3) 팔괘(八卦) 24 3. 음양의 특성 25 1) 상반되는 두 측면이 있다고 본다. 25 2) 변화하는 것이라고 본다 26 3) 음양의 상호 의존성과 통일성 27 4) 음양의 상대적 균형과 그 의의 27 제2절 오행 30 1. 오행의 개념 30 2. 오행의 속성과 상생상극 32 1) 오행의 속성 33 2) 오행 개념의 확장과 인체의 오행 36 3) 오행의 상생상극 38 4) 오행 상생상극의 상호관계 43 3. 우주생성론과 오행 46 1) 오행의 생성과 수리 46 2) 우주 생성과 오행 47
4. 음양오행론의 기원과 하도 낙서 52 1) 인류사적 배경 52 2) 음양오행론의 기원 55 3) 하도 낙서와 우주변화의 원리 63 제3절 오운육기와 육경 68 1. 오운에서 육기생성 원리 68 1) 중토(中土) 68 2) 상화(相火) 69 3) 금화교역(金火交易) 70 2. 육기(六氣)의 개념 71 3. 육기(六氣)와 삼음삼양(육경) 74 1) 팔괘와 삼음삼양 74 2) 육기와 삼음삼양의 표(標) 76 4. 천간지지와 운기론 80 1) 천간 81 2) 지지 85 제4절 육기와 육경과 십이경 89 1. 육기육경과 기후 89 1) 하늘과 땅의 육기 90 2) 육기와 인체의 육경 93 3) 육기와 육경과 오행의 관계 94 4) 육기의 음양관계와 내외 96 5) 표(標)ㆍ본(本)과 중기(中氣) 99 6) 표본중기의 종화(從化)규율 102 2. 육기와 십이경맥의 순환 106 1) 경맥의 장부(臟腑)ㆍ수족(手足) 배속 106 2) 십이경맥의 순환과 삼원(三元) 108 3) 십이경맥의 승강 110 3. 삼음삼양의 기혈다소(氣血多少) 115 제2장 경 락 119 제1절 경락의 계통과 기능 121 1. 경락이란 121 2. 경락 계통과 기능 128 1) 경락계통 128 2) 경락의 기능과 응용 132 제2절 기경팔맥 (奇經八脈) 138 1. 기경팔맥 개요 138 1) 기경팔맥과 음양 138 2) 기경팔맥의 흐름 141 3) 기경팔맥의 작용과 활용 142 2. 기경팔맥 각론 144 1) 임맥(任脈) 144 2) 독맥(督脈) 148 3) 충맥 (衝脈) 152 4) 대맥(帶脈) 154 5) 음 · 양 교맥 155 6) 음 · 양 유맥 157 제3절 십이경맥 160 1. 십이경맥 개요 160 1) 십이경맥의 특징 160 2) 십이경맥의 명칭과 구성 160 3) 십이경맥의 흐름 161 4) 손가락과 발가락 163 5) 십이경맥의 접속 164 6) 동명경의 흐름 165 7) 십이경맥의 표리관계와 속(屬)ㆍ락(絡) 167 8) 십이경맥과 장부와의 관계 168 9) 십이경맥의 교회(交會) 169 2. 십이경맥 각론 170 1) 수태음폐경 170 2) 수양명대장경 174 3) 족양명위경 178 4) 족태음비경 182 5) 수소음심경 186 6) 수태양소장경 190 7) 족태양방광경 194 8) 족소음신경 198 9) 수궐음심포경 202 10) 수소양삼초경 206 11) 족소양담경 210 12) 족궐음간경 214 제4절 십이경별 십이경근 십이피부 218 1. 십이경별 218 1) 십이경별의 육합 218 2) 십이경별의 기능 226 3) 활용 226 2. 십이경근 227 1) 경근의 분포와 생리 227 2) 십이경근의 순행과 병증 229 3. 십이피부 248 제5절 락맥(絡脈) 250 1. 종류 250 2. 십오락맥의 기능 251 3. 십오락맥과 락혈 253 1) 수삼음락맥 254 2) 수삼양락맥 255 3) 족삼음락맥 256 4) 족삼양락맥 258 5) 임ㆍ독맥의 락맥과 비의 대락 259 제6절 장부경락의 생리 261 1. 수족 육경의 사화경(司化經)과 종화경(從化經) 261 2. 십이경락의 장부 기화생리 262 1) 태음경과 양명경의 조습(燥濕) 장부생리 조절 262 2) 소음경과 태양경의 한열(寒熱) 장부생리 조절 266 3) 궐음경과 소양경의 풍서(風暑) 장부생리 조절 270 제7절 경락의 흐름과 유연관계 274 1. 태기와 영기와 위기의 흐름 274 1) 태기의 흐름과 시월양태 274 2) 영기행도와 위기행도 278 2. 십이경락의 근결 표본 기가 사해 286 1) 근결(根結) 286 2) 십이경맥의 표(標)와 본(本) 289 3) 기가(氣街) 292 4) 사해 (四海) 293 3. 육경병증과 관합추 294 1) 육경병증(六經病證) 294 2) 관합추(關闔樞) 개념과 적용 299 3) 관합추와 장부상통(臟腑相通) 304 제8절 경락과 경혈 306 1. 경락별 경혈의 분포 306 2. 경혈의 치료범위 310 3. 경락과 특정혈 314 <참고문헌> 323 <부록> 인체경혈도 325
감수 전세일(全世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미국 펜실베이니아 의대 재활의학과 교수, 국제침술학회 회장, 연세의대 재활병원 원장, 연세의대 동서의학연구소 소장,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원장,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원장, 석정웰파크병원 병원장, 차움의원 명예원장, 분당차병원 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한가족요양병원 병원장, 서재필기념회 부이사장, 브레인트레이너협회 협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1세기 위대한 인물 500인’에 선정되기도 했다. 저서로 《뇌졸중 백과》 《한방으로 갈까, 양방으로 갈까》 《새로운 의학, 새로운 삶》 《현대과학의 쟁점》 《내 몸이 의사다》《침술의학》외 다수가 있다.
편저: 침뜸학교 교육연구팀(강상숙, 김학수, 박권재, 박태동, 손중양, 신풍호, 양재현, 이상창, 이정호, 임휘철, 정효재, 최준영, 최준혁, 최지웅, 황경호) 대표집필 손중양 사단법인 허임기념사업회 이사장 : 손중양은 1958년 생으로 용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철학과를 다니던 중 81년 전두환 군사독재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다 옥고를 겪었다. 『월간 말』 편집차장을 지낸 바 있고, 1992년 경실련에서 시민단체 공동신문 ≪시민의신문≫을 창간, 편집국장으로 활동했다. 1999년 침구사 김남수 선생을 인터뷰 하여 ≪시민의신문≫에 보도하면서 침뜸의 역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 후 2000년부터 2006년까지 뜸사랑 사무국장과 정통침뜸연구소 상임이사를 맡아서 '침뜸 살리기 활동'을 전개해 왔다. 2005년부터는 조선의 침의 허임의 생애에 관해 조사ㆍ연구하여 논문으로 발표하는 한편, 사단법인 허임기념사업회를 설립해 현재 대표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2017년에는 『허임-조선의 침구사』『경락&경혈(탁상용)』 『가문의 침술-조선 재야 침구사』 등의 책을 펴냈고, 생명건강문화의 창달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요약. 본문 부분] 음양오행의 이치로 생겨난 대우주가 지구(地球)에는 음양(빛과 그늘)을 기반으로 오행이 운행하여, 습토(濕土)와 조금(燥金), 군화(君火)와 한수(寒水), 풍목(風木)과 상화(相火)라는 육기(六氣)의 환경을 형성한다. 육기가 사람이라는 생명체 내에서는 태음 소음 궐음이라는 삼음과 양명 태양 소양이라는 삼양의 체계로 경락계통을 형성하여 위기영혈(衛氣營血)을 순환시키면서 인체를 창출하고, 인생(人生)을 영위(營衛)하도록 한다. 내경에서는 “사람은 천지의 기로 생겨나고, 사시의 법으로 형성된다”고 했다. 음양의 대우주는 수(水) 화(火) 목(木) 금(金) 토(土)라는 오행(五行)의 순차에 따라, 기(氣)가 생기고 형(形)이 갖춰지고 질(質)이 채워지고 체(體)로 완성됐다고 본다. 인간도 음양오행의 차서(次序)에 따라 생겨나고, 생명을 영위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우주는 하늘에 수많은 성신(星辰)을 창조하고 마침내 일월(日月)과 지구(地球)를 만들어 냈다. 우주공간에서 항성과 행성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형성되어 항성에서 행성으로 에너지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행성 내 자연환경이 조성된다. 지구는 태양으로부터의 적당한 거리와 달이라는 일정한 위성의 존재 등 여러요인이 작용하여 음(陰)-양(陽)이 조화를 이루고, 한(寒)-열(熱), 조(燥)- 습(濕), 풍(風)-서(暑)의 육기(六氣) 환경이 적절하게 조성된다. 오행이 돌아가는 중에 상화(相火)가 생겨나, 육기의 변화가 일어나며, 이에 따라 온도와 습도와 기압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 육기는 태음 소음 궐음과 양명 태양 소양이라는 삼음과 삼양으로 나타나고, 생명세계를 만들어 낸다. 음양과 삼음삼양의 현상은 일정한 규칙성 내지는 항상성을 가지게 되어 생명체의 경락체계를 형성하여, 음양의 균형을 갖추도록 하며, 내생육기(內生六氣)를 순행시킨다. 경락체계의 운행으로 생명체의 음양이 조화를 이루고, 내부의 온도[寒熱 한열], 체내의 농도[燥濕 조습], 흐름과 운동[風暑 풍서]의 항상성이 유지된다. 경락체계에 의해 생체내부에 장부가 형성되며, 이는 다시 감각기관ㆍ신경전달기관ㆍ운동기관 등과 연결되어 활동력을 가지는 복잡한 체계를 갖추며, 스스로의 생명을 영위(營衛)하고 또한 생식(生殖)하게 된다는 것이다. 대우주가 음양에서 나왔듯이 사람의 경우도 역시 음양에서 나오는데, 육기의 기운으로 나타나는 삼음삼양이 짝을 이루어, 내외(內外)ㆍ표리(表裏)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분화과정에서 암수의 음양으로 다시 나뉘어지면서 끊임없이 변화 유전한다. -본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