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 & 자료
Service to Every Being is the spirit of Wellbeing! 생명에 대한 봉사가 웰빙의 참된 정신입니다!

Home > 커뮤니티 > 담론 & 자료

침의청을 설치하라! -1644년 인조22년 침뜸역사신문 사설

2025-06-07 조회 26


침의청을 설치하라!

 

우리나라 의술을 대표할 침뜸전문서인 침구경험방이 드디어 출판됐다. 침의들 중에서 으뜸으로 추앙받고 있는 침의(鍼醫) 허 임(許任)이 일생동안 보고 들은 것을 궁리하여 손으로 시험해 본 의술을 정리하여 한권의 책으로 엮어낸 것이다. 이 책은 조선 사 람의 임상을 바탕으로 편찬한 조선의 의술서이다.

지난 1613년에 출간한 동의보감에도 침구처방이 병증별 치료 방법 가운데 소개되어 있고, 마지막권인 침구편(鍼灸篇)에 침뜸 의학에 필수적인 내용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동의보감 은 의학경전의 재구성을 통한 집대성의 의미가 큰 책이다. 그 만 큼 나라에서 많은 지원을 하였고, 명성도 높다.

이번에 나온 침구경험방은 또 다른 의미에서 동의보감에 결 코 뒤지지 않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조선의 침뜸의학이 독자적 으로 자리를 잡은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의 학은 대부분 중국의 의학경전에 의존해, 중국의서를 그대로 수 입해서 쓰거나 재구성해서 엮은 것이었다.

허임의 침구경험방은 그렇지 않다. 실제 우리나라 의료현장에 서 직접 임상을 하며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집필한 책이다. 우 리 의학계는 의학경전을 교조적으로 신봉하는 풍토가 없지 않 았다. 의학(醫學)이라는 학문은 의술(醫術)이 되어서 의료현장에 서 쓰인다. 의학이 의술로 되기 위해서는 정성을 다하여 온 몸으 로 익혀야 한다. 이치를 궁구하고 그 원리를 터득하고, 심신을 바쳐서 적용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 가운데 진정한 의(醫)가 실 현이 되고, 의술도 향상이 된다. 침뜸의학은 침의들에 의해서 의 술이 되어 현실에 적용이 되는 것이다.

허임은 침구경험방 서문에서“감히 스스로를 옛사람의 저술 에 견주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일생동안 고심한 것을 차마 버릴 수 없었기 때문”이라며 책 내용이 자신의 평생에 걸친 임상이라 는 점을 밝히고 있다. 그는 고통을 겪는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일생동안 고심한 것이다.

어릴 때 부모님의 병 때문에 의원집에서 일하며 의술을 터득 한 허임은 20대에 임진왜란의 현장에서 수많은 백성들의 고통 을 침과 뜸으로 덜었다. 그는 그 때 이미 의술이 뛰어나 이름을 떨쳤고, 내의원 침의로 천거되어 선조와 광해군 그리고 지금 인 조까지 3대에 걸쳐 대궐을 드나든 우리시대 제일의 명의이다. 그런데도 허임은 늘 백성들 가운데서 인술을 베풀려고 했다. 틈 만 나면 전국의 각 지방을 다니며 아픈 사람을 고쳤다. 우리는 그의 인술자로서의 정신을 새겨야 할 것이다.

한편 중국 의서를 베끼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독창적인 침구전문서가 나온 데는 우선 침구전문업종의 정착이라는 의료 제도사적인 배경이 있었다. 세종 때 만들어진 침구전문업종이 성종 이후 제대로 정착되어 침구의원들의 의술이 더욱 발전하고 있었다. 침의(鍼醫)가 제도권 내에서 직업으로 자리를 잡고, 백성 들 사이에서도‘침쟁이’가‘침구의원’으로 인정되어 침구분야 가 전문영역으로 정착, 침뜸의술에 큰 진전이 있었던 것이다.

침구경험방을 간행한 것은 임금께서 만백성을 건강하게 살도 록 하려는 뜻을 받든 것이라고 이경석은 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의정 명으로 관찰사까지 동원하여 국가적인 사업으로 침구경 험방을 인쇄해 낸 것이다. 그만큼 허임의 의술이 백성들을 위해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마땅히 세상이 공유하여 널리 전하여야 할 것이며 없애거나 함부로 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미 침과 뜸은 백성들의 생활의술로 널리 보급되어 있다. 침 놓는 것과 뜸뜨는 것은 구비하기가 쉬우면서도 그 효과는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이제 침구경험방이 나와서 증세에 따라 치료 하면 집집마다 신의 의술을 만날 수 있게 되어 그 구제하는 바를 헤아릴 수 없게 됐다. 침구경험방의 간행을 계기로 앞으로 침뜸 은 더욱 많이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침과 뜸을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제도적인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기관으로 침의청(鍼醫廳)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트위터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목록 수정 삭제


이전글, 다음글
이전 침의청(鍼醫廳) 관련 자료 2025-06-07
다음 낮은 곳의‘신의(神醫)’ 침은 조광일 - 의술은 높되 명성을 구하지 않아 2025-06-06